코카인이라는 흰색가루 형태의 마약의 유통과정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한국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내용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글 소개에 앞서 마약은 사망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설명 드리고 싶습니다. 절대 가까이해서는 안 됩니다.
(코카잎)
코카인은 코카나무에서 피는 코카잎으로부터 생산됩니다. 코카나무는 대게 남미의 농부들이 재배를 합니다. 이들 나라들은 콜롬비아, 볼리비아, 페루이며 동시에 코카인의 최대 생산국이기도 합니다. 남미 농부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코카라는 나뭇잎은 1kg에 한화로 1,800원하던 게 30,000원 가량 판매가 될 때도 있다고 합니다.
코카인을 만들 때는 코카잎에 화학 약품을 넣어 원액을 추출합니다.
그런 다음 암모니아를 섞으면 흰색 덩어리가 되고 흰색 덩어리를 좀 더 가공해서 코카인으로 만들어 집니다.
(흰색 가루 코카인이 되기 전 단계의 형태)
이렇게 생산되는 코케인의 양만해도 1년에 9,000톤 정도 됩니다. 단위를 킬로로 바꿔서 환산하면 9,000,000킬로그램입니다.
(미국에서 코카인 1킬로에 $20,000~$25,000 거래)
미국에서 코카인 1킬로에 $25,000에 거래되는 것으로 확인되니(그외 지역은 가격이 더 높습니다) 미국 시장 가격 기준으로 봤을 때 한화로 전세계 코카인 시장은 225조 이상입니다. 코카인 생산율의 50%정도 정부기관에 발각되어 압류 되고 있으며 그래도 112조5천억 시장입니다. 정말 어마마한 액수입니다.
그럼 이런 코카인을 어떻게 운반할까요? 바로 잠수함입니다.
7톤짜리 잠수함 1대이면 7톤 정도의 코카인을 운반할 수 있는데 무려 미국 시가 기준 한화로 따졌을 때 1,750억입니다.
(코카인을 운반하는 잠수함)
아래는 관련 사진과 동영상입니다. 코카인을 급 노화가 오고 신체 장기가 망가져 급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조심하고 또 조심하셔야 합니다.
절대 코카인은 가까이해서는 안됩니다.
(2014년 4월 콜롬비아 정부 당국에 발각된 7톤가까이 되는 코카인의 양입니다.)
(콜럼비아 항구에서 멕시코로 출발하는 코카인 운반 항로입니다.)

(항구를 출발하여 갈라파고스 아일랜드 뒤편으로 지나갑니다.)

(이후 멕시코까지 계속해서 이동합니다. 멕시코에 도착해서 다시 미국으로 넘어간다고 합니다.)

(처음에 코카인은 비행기로 운반되었으나 단속이 심해지니 비행기가 하늘에서 코카인을 떨어트리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허나 여러 문제로 인하여 작은 쾌속선으로도 운반 방식을 바꿨습니다. 쾌속선도 단점이 1개 있었는데 바로 쾌속선이 뒤집힐 확률이 50% 였다고 합니다. 위와 같은 이유에서 쾌속선에 뚜겅을 만들어서 잠수함 형태로 변형되었습니다.)

(코카인을 운반하는 잠수함은 이런형태도 있습니다.)
(밀림의 중간에서 잠수함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정말 상상도 할 수 없는 깊은 밀림 속에서 잠수함을 제작한다고 합니다. 잠수함을 제작하는 곳과 코카인을 싣는 곳은 각각 다른 곳 입니다. 밀림에서부터 코카인을 실으면 잠수함을 옮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코카인 운반도중 단속에 걸렸을 경우 벨브를 열어서 바닷속 깊이 잠수함을 가라앉게 할 수도 있습니다.)

(잠수함 내부의 잠수함 조정장치 입니다.)

(잠수함 내부에 위치한 나침판 입니다. 보통 잠수함에는 5명 정도 탑승을 한다고 하고 각자의 역활이 명확하다고 합니다. 음식은 통조림으로 해결을 많이 한다고 합니다.
운반 성공시 선장은 한화로 2,500만원 정도 받고 그 밑에 부하선원들은 5백만원에서6백만원을 챙긴다고 합니다.)
(마약 조직은 7톤 급 잠수함 1대당 한화로 10억정도 비용을 들여서 제작을 하고 있습니다.)
(7톤 잠수함 1대에 7톤의 코카인을 운반하면 잠수함 1대당 1,750억원이 운반되는 것 입니다.)

(잠수함보다 더 발전된 미사일 형태의 무인기 모형입니다.)

(1번 배가 먼저 가고 실제 코카인이 실린 무인기는 2번 배가 묶어서 운반을 합니다.)

(단속에 걸렸을 경우 2번배는 무인기를 배로부터 분리시켜 바다에 가라 앉히고)
(3번 배가 해당 무인기를 다시 찾아서 배에 묶어 이동을 지속합니다)
(무인기 위에는 나무 토막이 묶여있고)

(무인기가 바닷속으로 가라 앉으면 바다 위에서는 나무 토막만 보입니다. 단속 당국이 볼때는 일반 나무 토막이지만 운반 조직은 단번에 무인기인것을 알아 차릴 수 있습니다.)
(실제 무인기 형태)
(예전 마약 조직원의 일원이였던 남성)

(남성이 밝히기로 코카인으로 인해서 모든것을 잃었다고 합니다. 심지어 가족도 잃었다고 합니다.)

(남성이 밝히기로는 콜롬비아에서 스페인까지 인공위성을 통해서 한번에 코카인을 운반할 수 있는 무인기가 개발했을 것이고 현재 운영 중일 것을 추측하고 있습니다.)
(코카인 마약 조직의 최종 목표는 남미에서 유럽시장까지 코카인을 안전하고 빠르게 운반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독립 탐사 언론사에서 콜롬비아 마약 운반에 관한 취재를 한 영상 입니다.)
(영국 방송국 BBC에서 남미에서 실재로 코카인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하여 단독 취재를 한 영상입니다.)